Loading...
2011. 5. 27. 02:20

유세

유세 : 遊說 자기 의견 또는 자기 소속 정당의 주장을 선전하며 돌아다님. ...예전에 정나라 무공은 호나라를 칠 계획으로 자기 딸을 호나라 군주에게 시집보내고 대신들에게 이렇게 물었다. "내가 전쟁을 일으키려 하는데 어느 나라를 치면 좋겠소?" 관기사가 대답했다. " 호나라를 쳐야 합니다. " 그러자 무공은 이렇게 말했다. " 호나라는 형제 같은 나라인데 그대는 어찌 호나라를 치라고 하시오?" 그리고 나서 관기사를 죽였다. 호나라 군주는 이 소식을 듣고 정나라를 친한 친구 나라로 여기고 공격에 대비하지 않았다. 그러자 정나라 군사들이 호나라를 습격하여 함락시켰다. 이웃집 사람과 관기사가 한 말은 모두 옳으나 심한 경우는 목숨을 잃고 가벼운 경우는 의심을 받았다. 이는 안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 아니라 아..

거기서 멈췄더라면 더 행복했을까.

어떤 얘기들은 들숨과 날숨에 섞여 사라지고, 또 어떤 얘기들은 황금빛 안개에 젖어 땅에 내려 앉는다. 그러니 그렇게 사라지는 말의 씨줄과 낱줄을 엮어 부끄러운 글이라도 끄적이는 것은 종요롭다. 언젠가는 언젠가는 말이다. 그 부끄러움이 사라졌으면 한다. 드러냄이 여전히 두려운 맘 한켠은 도려내버리고 멈추지 않는 글을 쓸 수 있을 때엔 정말 정말 통속적인 사랑 얘기나 하나 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때 그 얘기는 이렇게 시작하면 좋겠다. "거기서 멈췄더라면 더 행복했을까"라고 누군가가 말했다. 내가 말하고 싶더라도 어차피 해 본 적도 별로 없는 얘기들을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지도 않다. 그럴바엔 차라리 누군가가 어떻게 했다더라..고 말하는 편이 좋겠다. 우릴 둘러싼 이곳의 주류는 어느새 '~~~카더라'..

2011. 5. 24. 17:15

애키우기?? 젠장.

Raising Children Is Heck By PAMELA PAUL Published: May 21, 2011 OF the many moments during the day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operate at cross purposes, none are so fraught as bedtime. 하루중 아이와 부모간에 의견이 엇갈리는 수많은 순간 중에서, 잠들무렵 만큼 난처한 순간도 없을 것이다. After a certain amount of hair detangling, into-your-pajamas-now cajoling, recitations of “Goodnight Moon” and singing of shopworn lullabies, the parent..

디지털과 아날로그

평소와는 다른 길을 가보고 싶었다. 머리속으로는 이렇게 해서 ... 거기서 갈아타고... 음 그러면 되겠네 하고 버스를 탔더니 왠걸 ㅜㅜ 엉뚱한 곳에 내렸다 가려했던 목적지가 맞으면서도 아닌곳 이름이 하나이지만 그 크기가 아주 큰 곳 머 그런 경우다. 별거 아니었다. 보라매 공원이 맞긴한데 서쪽 입구와 동쪽 입구의 차이 정도. 그리 급할것도 없는 저녁시간이라 털래털래 걸어서는 공원을 가로질렀고, 버스를 갈아탔다. 뒷자리에 앉아서 늘 그렇듯 아이폰을 꺼내어 컷더로프를 했다. 그러자 옆자리에 앉아있던 중년의 아저씨가 먼가를 안주머니에서 꺼냈다. 조금 뒤에서야 보니 신문에서 오려낸 스도쿠. 이전까지 맞추던 숫자가 적혀있고, 갖고 다닌지는 꽤 되어서인지 꾸겨진 종이들. 그건 왠지 게임 같지 않았다. 그 머랄까 ..

Your So-Called Education

http://www.nytimes.com/2011/05/15/opinion/15arum.html?src=me&ref=general COMMENCEMENT is a special time on college campuses: an occasion for students, families, faculty and administrators to come together to celebrate a job well done. And perhaps there is reason to be pleased. In recent surveys of college seniors, more than 90 percent report gaining subject-specific knowledge and developing t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