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r 5th 2007 ]Smaller shares, bigger slices

Economics focus http://cafe.daum.net/econimist카페 전영재님이 해석하신 글

Smaller shares, bigger slices

Apr 5th 2007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Has globalisation hurt workers in rich economies? The IMF wades in

THE world economy has been growing at its fastest for a generation. Money, goods and ideas move around the globe more freely than they have for at least a century—maybe more than ever, when you think of modern communication and China's re-emergence. So why allthe gripes and grumbles? The problem,as some see it, is that workers in rich countries are not getting a fair whack. Their share of income has been shrinking for the past quarter of a century, most markedly in continental Europe and Japan. The new order may be just dandy for capitalists, but not for those who toil by hand or brain.

한 세대 동안 세계 경제는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화폐, 재화 그리고 아이디어가 적어도 1세기에 비해 훨씬 더 자유롭게 움직이고 있다. 현대 통신기술과 중국의 재부상을 생각한다면 과거 그 어느 때보다 자유롭게 이동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왜 불평과 불만이 넘쳐나고 있을까? 문제는 일부가 지적하듯 선진국의 근로자들이 공정한 몫을 받고 있지 못하다는 데 있다. 특히 유럽대륙과 일본에서 이들의 소득 비중은 지난 25년간 축소되어 왔다. 새로운 질서는 자본가에는 멋지지만 손과 두뇌로 땀 흘려 일하는 사람에게는 그렇지 못하다.

*get[have,take]one'swhack한몫끼다

 

In its semi-annualWorld Economic Outlook, theIMFexamines how trade, technology and immigration have stitched the world's labour markets together at an astonishing rate, leaving rich-country workers unsure ofwhere they stand.Weighting each country's workforce by its ratio of exports toGDP, theIMFestimates that global labour supply has in effect risen fourfold since 1980 as China, India and once-communist countries have opened up. Most of the extra workers got no further than secondary school (although the relative supply of graduates has gone up by 50%). With this surge of competition, you might expectlabour's share of the pieto shrink.

반기별 세계경제 전망에서 IMF는 무역과 기술 그리고 이민이 어떻게 세계 노동 시장을 빠른 속도로 통합시키고 그 과정에서 선진국 근로자들의 입지를 불확실하게 만들고 있는지를 분석했다.각 국의 노동력을 GDP 대비 수출 비중으로 가중평균함으로써 IMF는 중국, 인도 그리고 기타 구 공산권 국가들이 개방함에 따라 1980년대 이래 세계 노동 공급이 네 배 이상 증가했다고 추정했다. 추가적 노동력의 대부분은 중등 교육 수준 이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 (비록 대졸 노동력의 상대적 공급은 50% 이상 증가했지만) 이러한 경쟁 증가에 따라 노동 몫은 줄어드리라 기대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competition is direct: workers cross borders to take jobs in rich countries. Although unwelcome in many places, immigrants' share of the workforce has risen a lot in some European countries (notably Britain, Germany and Italy) and in America, where it is close to 15%. The more important channel, though, is trade: largely because of China, developing countries' share of rich countries' manufacturing imports has doubled since the early 1990s. “Offshoring”—shifting production, especially ofintermediate goodsand some services, abroad—has been on the rise, although theIMFnotes that it has grown more slowly than total trade.

일부 경우에서는 경쟁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선진국에 일자리를 얻기 위해 근로자들은 국경을 넘어 이동한다. 많은 지역에서 환영받고 있지 못하지만 노동력 중 이민이 차지하는 비중은 일부 유럽 국가(영국, 독일, 그리고 이태리)에서 크게 증가했으며 미국의 경우 15%에 가깝다. 보다 중요한 경로는 교역이다. 중국 때문에 선진국 제조업 수입 중 개도국의 비중은 1990년대 초반 이후 두배로 늘어났다. 중간재나 일부 서비스를 비롯한 생산 이전을 의미하는 오프쇼어링은 IMF에 따르면 총 교역 증가율보다는 느린 속도지만 증가하고 있다.

Globalisation is not the only possible reason why labour's share has shrunk. New technologies have probably taken a few degrees off theworkers' slicetoo. Several countries have also fiddled with labour-market regulation, pushing the wage share one way or the other.

세계화는 노동 분배 몫을 축소시키는 유일한 이유가 아니다. 새로운 기술 역시 근로자의 몫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국가들은 노동시장 규제를 가하고 있으며 이는 임금 분배를 줄이거나 늘이는 역할을 한다.

TheIMFhas made perhapsthe most valiant attemptso far to weigh these competing explanations. It is impossible to disentangle technology and globalisation entirely: advances in telecommunications, for example, are what enable Indian software engineers and call-centre workers to serve customers in America and Europe.That caveat noted, the fund's(IMF) results, for 18 countries split into four groups, are shown in the chart.

IMF는 이러한 서로 다른 주장에 대한 평가를 내리기 위해 가장 과감한 시도를 하고 있다. 기술과 세계화의 효과를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의 발달은 인도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콜 센터 근로자들이 미국과 유럽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이 점을 감안하여IMF는 18개 나라를 네 개의 그룹으로 구분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t finds that both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globalisation of labour markets have depressed labour's share in all four groups. For the 18 countries as a whole, reckons theIMF, technology has mattered more. However, there aremarked differences among them.

네 개의 그룹 모두 노동시장의 세계화와 기술 변화가 노동 분배 몫을 축소시켰다. 전체 18개 국을 보면 기술이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들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Technological change had the biggest effect in Europe and Japan. In Anglo-Saxon countries (America, Australia, Britain and Canada) it was much smaller. In America, indeed, technology seems to have raised labour's share. The fund thinks this may reflect America's lead in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When a country first exploitsIT, labour's share of the national cake goes down. As time goes by, though, workers adjust and learn. Once their skills match the technology better, their productivity and their share go up.

기술변화는 유럽과 일본에서 가장 큰 효과를 가져다 주었다. 영미형 경제(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훨씬 더 작게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기술은 노동 분배율을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국이 정보 통신 기술 활용에 앞서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라고 IMF는 판단한다. IT 기술을 처음 활용하기 시작할 때는 노동의 분배 몫은 처음에 줄어든다. 시간이 지나가면서 근로자들이 적응하고 학습한다. 기술 숙련 수준이 기술에 제대로 부응하면 생산성이 올라가고 분배 몫은 증가한다.

The effects of labour globalisation were most evident in Anglo-Saxon and small European countries. However, it has touched different places in different ways. In Europe the effects of offshoring and immigration have been more marked than in the Anglo-Saxon world; in Japan they havescarcely registered.The labour-intensive goods that rich countries import!! have fallen in price, pressing down on the workers' share. But this has been broadly offset by price falls in the capital-intensive goods they export. In Japan these prices fell by enough to yield an overall net gain in the labour share.

노동 세계화에 따른 효과는 영미형국가와 유럽의 소국들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그 영향이 미치는 방식은 상이하다. 유럽의 경우 오프쇼어링과 이민의 영향은 영미형 국가보다 현저하다. 일본의 경우에는거의 나타나지 않는다.선진국들이 수입하는 자본 집약적 재화는 가격 하락을 유발하며 근로자의 분배 몫을 줄이게 된다. 그러나 이들이 수출하는 자본집약적 재화의 가격 또한 하락하며 그 효과가 상쇄된다. 일본에서는 자본집약적 수출재의 가격 하락이 충분하여 노동 분배 몫은 오히려 늘어났다.
 

In Anglo-Saxon and smaller European countries, labour-market policies have partially offset the depressing effects of technology and globalisation on labour's share, mainly by shaving the tax wedge between what workers take home and what they cost to employ. In large European countries, increases in the ratio of unemployment benefits to wages have hurt labour's prospects, probably against policymakers' intentions.

영미형 국가와 유럽 소국들은 근로자가 손에 실제로 쥐는 임금과 기업이 실제 지불하는 비용과의 차이는 세금 격차를 축소하는 노동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기술과 글로벌화의 노동 분배 비중 저하 효과를 완화하고 있다. 유럽 대국의 경우에는 임금 중 실업 급여 비율의 증가가 정책 결정자의 의도와는 달리 노동의 몫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Not all workers are equal. According to theIMF, globalisation has weighed more heavily on skill-intensive than on unskilled industries. This may be because of offshoring, which has probably intruded on the first lot of industries more than the second. But other factors have offset globalisation's effects. Indeed, the labour share in skilled industries has gone up overall, because of a shift of jobs from unskilled to skilled sectors.

모든 근로자가 똑같은 것은 아니다. IMF에 따르면 세계화는 비숙련 산업보다는 숙련집약적 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프쇼어링 때문인데, 숙련 집약적 산업에 영향을 더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요인들이 세계화의 영향을 상쇄하고 있다. 비숙력 부문에서 숙련 부문으로의 노동력 이동 때문에 숙련 산업에서의 노동 비중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Although globalisation has reduced labour's share of the pie, it has made the whole pie bigger, raising output and productivity and lowering the prices of traded goods and services. So are workers getting smaller shares but larger slices? Yes, concludes the fund: trade has helped, largely by making import!!s cheaper. Across the 18 countries studied, changes in trade prices boosted average real pay by 0.24% a year.
세계화가 노동 분배 몫을 감소시켰지만, 생산 및 생산성 증가와 교역재 가격 및 서비스 가격 하락 등에 따라 전체 경제의 몫은 늘어났다. 그렇다면 근로자들은 자신에게 돌아오는 몫의 비중은 줄었지만 그 크기는 늘었는가? IMF는 그렇다고 결론 내린다. 수입품의 가격을 싸게 만든 교역의 역할이 컸다. 18개 국가에서 교역 가격의 변화는 실질 임금을 매년 0.24%까지 낮추었다.

Labour is therefore getting some of the extra growth due to globalisation. However, that is unlikely to silence the grumbles. Many people believe that most workers have not gained much from globalisation at all. The perception remains,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that people who already have plenty have enjoyed the bulk of the extra prosperity. To reach a judgment on that, you need to dissect neither the labour share nor average pay but the median wage—which theIMF's study does not do. Stand by for further argument.

노동은 세계화에 따른 추가적 성장의 일부를 얻고 있다. 그렇다고 불평이 잠잠해질 것 같지는 않다.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의 노동자가 세계화로 인해 거의 얻은 것이 없다고 믿는다. 미국에서 이러한 인식은 지속될 것이다. 이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노동의 몫이나 평균 임금 뿐만 아니라 중위 임금을 살펴 볼 필요가 있는데 IMF는 이를 다루지 못하고 있다. 최종 판단은 지켜봐야 한다.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