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r 12th 2007 ]Slaking a thirst for justice

Human rights

Slaking a thirst for justice

Apr 12th 2007 | BUENOS AIRES AND SANTIAGO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AFP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의에 대한 목마름을 해소시키기

 

A generation later, in both Argentina and Chile, the courts are dealing with the perpetrators of past atrocities
한세대가 지나고, 아르헨티나와 칠레 양국 법정은 과거 잔혹행위의 가해자들을 심판하고 있다.

 

http://cafe.naver.com/3win/2149 칠레의 인권과 관련되 글

Get article background

FOR the past 31 years, Viviana Díaz, a small, gentle woman now in her 50s, has devoted her life to finding out what happened to her father, Victor Díaz López, a former leader of Chile's Communist Party. Following the bloody coup against Salvador Allende's left-wing government in 1973, he became one of the military regime's most wanted men. After nearly three years in hiding, he was finally picked up by the DINA, the secret police of Chile's dictator, General Augusto Pinochet. His family never saw him again.

31년 동안 작고,온화한 이제는 50대에 접어든 비비안 디아즈씨는 전 칠레 공산당 당수 였던 아버지 빅터 디아즈 로페즈에게 무슨 일이 생겼는지 밝히는데 헌신해왔다. 살바도르 알렌데의 좌익 정부에 대항한 피의 쿠데타 이후, 빅터 디아즈 로페즈는 군정권의 수배 일순위가 되었다. 3년간의 도피후, 그는 피노체트의 군비밀경찰(DINA)에 의해 붙잡혔고 그 후 가족들은 그를 볼 수 없었다.

 

He was one of the many thousands who perished under the dictatorships that ruled many parts of Latin America in the final phase of the cold war in the 1970s and 1980s. A quarter of a century after the last successful military coup in Latin America, the region has moved on, with democracy for the most part firmly established. But in many countries, the past still poses some searching questions. Peace or justice? Retribution or reconciliation? Find the truth, however painful, or prefer the ease of forgetting?

그는 1970년에서 80년대 냉전 말기 라틴아메리카를 지배했던 독재정권들하에서 고통받았던 수천의 사람들 중 하나이다. 마지막 군사 쿠데타 이후, 4반세기가 흘렀고, 그 지역들은 대부분의 지역에 민주주의가 확립되었다. 그러나 여러나라에서 여전히 그 과거에 대해 답을 찾고 있다 . 평화 또는 정의? 죄에 대한 심판 또는 화해? 고통스러운 진실을 찾거나, 보다 쉬운 망각을 택하거나....

 

Many argue for moving on rather than re-opening old wounds. Others reply that without justice there can be no healing and no guarantee of the rule of law. No group feels this more keenly than the relatives of the “disappeared”—those kidnapped by the state and taken to secret detention centres. Their tortured bodies, dumped in the sea or buried in unmarked graves, were rarely if ever found until well after the dictators departed. Unidentified remains are still turning up.

오래된 상처의 재개봉보다는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이들은 정의 없이는 법원칙의 보장과 치유가 있을 수 없다고 한다. 사라진 사람( 정부에 의해 납치되고 비밀 구치소에 보내진)들의 가족,친지보다 더 생생하게 이것을 느끼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들의 고문당한 사체, 바다에 버려지거나 어딘지 모를 묘지에 묻힌 시신을 찾는 것은 독재자들이 완전히 사라진 후에도 드문 일이다. 신원불명의 시체들이 여전히 발견된다.

 

In most countries in the region where abuses occurred under authoritarian rule—Guatemala (where 200,000 died in a civil war between military dictatorships and left-wing guerrillas), Brazil, Mexico and Uruguay—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crimes of the past has barely begun. To a lesser extent, that applies to El Salvador too (seearticle).

The process has gone furthest in Argentina and, especially, Chile. That marks a change. In Chile, some 3,000 people were killed or “disappeared” at the hands of Pinochet's regime.But the dictatorship's amnesty for its own crimes outlived it.Only recently have most families learned the fate of their loved ones.

권위주의 독재자에 의한 학대가 발생한 대부분의 국가- 과테말라( 군사정부와 좌익게릴라 사이의 전투로 20만명 사망), 브라질, 멕시코, 우루과이-에서 과거 청산을 위한 과정이 간신히 시작되었다. 더 작게는 엘살바도르도 포함된다.

그 과정은 특히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그것은 변화를 뜻한다. 칠레에서, 3천명의 사람이 피토체트 정권에 의해 사라지거나 살해당했다. 그러나 자신들은 사면권으로 구사일생했다. 최근에서야 몇몇 가족들이 사랑하던 가족의 운명을 알게 되었다.

 

Take Mr Díaz's case. His family learnt of his arrest through an anonymous phone call. Then silence. After four months of searching, Ms Díaz and her mother, a washerwoman, met a woman recently released from Villa Grimaldi, a secret detention centre. She had a message for them from Marta Ugarte, another of the many communist leaders interned there. Ugarte's wrists had broken after she was strung up from the ceiling and her breasts were burned with a blow-lamp. She wanted them to know that neither she nor Mr Díaz would ever get out alive.

디아즈씨의 경우를 보면 그의 가족들은 익명의 전화를 통해 그가 체포되었음을 알았다. 그리곤 감감무소식, 4달여 후에 그의 딸과 부인은 근래 비밀감옥인 빌라 그르말디에서 풀려난 한 여자를 만났다. 그녀는 그곳에 억류된 또 다른 공산당 지도자인 마르타 우가르트로 부터 메시지를 전해줬다. 우가르트는 천정에 매달려 교수형에 처해졌고 손목은 부러졌으며 가슴에 불고문을 당했다. 그녀는 다른이들이 디아즈씨 뿐 만 아니라 누구도 살아나갈 수 없음을 알기 원했다.

 

For years, Ms Díaz staged demonstrations, petitioned the pusillanimous courts and badgered officials. But she was met only with death threats, repeated arrest and continuing silence. When democracy returned to Chile in 1990, the government set up an independent inquiry into the “disappeared”. Even then, the perpetrators could not be brought to justice. It was not until Pinochet's arrest in London in 1998 in response to an extradition request from Spain, and the British House of Lords' rulings that he lacked immunity under international law, that Chile's judges began to grow much bolder.

수년동안 미스 디아즈는 시위에 나서고 무기력한 법정과 정부에 탄원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위협, 반복되는 구금, 계속된 침묵 뿐이었다. 칠레에 민주주의가 회복되었을때, 정부는 사라진 사람들에 대한 독립적인 청문회를 준비햇다. 그러나, 그 독재자들을 법앞에 세울 수 없었다. 1998년 스페인의 범인 인도 요구로 피노체트가 런던에서 체포되고, 영국 법원이 국제법하에 그의 면책특권의 부족을 판결한 후에야 칠레의 법관들은 좀 더 대담해 지기 시작했다.

 

In a series of landmark rulings, Chile's Supreme Court removed most of the obstacles to trying the dictatorship's crimes. In 1999 it declared “disappearances” to be a continuing crime until death is proved. That meant they were not covered by the 1978 amnesty. In December 2006 it ruled that because Chile was in a situation of internal conflict after the 1973 coup, the Geneva Conventions applied. Serious violations of those conventions were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for which astatute of limitationscould never be invoked, it said. Nor could they be subject to amnesty, it ruled last month.

일련의 이정표와 같은 판결을 통해, 칠레 대법원은 독재자들의 범죄를 재판하는 대부분의 장애를 없앴다. 1999년 사람진 사람들에 대한 죽음이 밝혀질때까지 그 범죄가 계속되는 것임을 선언했다. 그것은 그 독재자들이 1978년의 사면권으로 부터 보호받지 못한다는 뜻. 2006년 12월에 대법원 칠레가 1973년 이후 내전상황하에 있었으므로 제네바 협정에 따른다고 판단하였다. 협정상의 심각한 폭력행위인 전쟁범죄, 인간성에 반하는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는 절대 인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사면의 대상도 될 수 없다고 밝혔다.

 

According to Chile's Interior Ministry, 148 people, including nearly 50 military officers, have already been convicted for human-rights violations during the 17-year dictatorship. Over 400 more, nearly all from the armed forces, have been indicted or are under investigation. Pinochet was himself facing trial on several charges, including murder, torture and tax evasion, when he died in December at the age of 91.

칠레 내무부에 의하면 50명의 군 장교를 포함한 148명이 이미 17년간의 독재기간동안 반인륜적 범죄에 대해 유죄선고를 받았고, 400명 이상, 군부대의 대부분이 기소되거나 조사중이다. 피노체트 역시 91살의 나이로 죽을때 여러가지 범죄, 살인, 고문, 세금포탈등의 대한 공판중이었다.

 

It was as a result of one of these investigations that Ms Díaz finally learnt of her father's fate. Last month a man known (because of his size) as “the Elephant”, who led the Lautaro brigade, a previously unknown elite unit of theDINA,tearfully confessed to murdering Victor Díaz at a barracks in Santiago in 1977 by asphyxiating him with a plastic bag, while cyanide was injected into his veins. His body, weighed down by a railway sleeper, was then thrown into the sea from a military helicopter. The truth, however painful, has brought her peace, says Ms Díaz.

이러한 조사의 결과로 미스 디아즈는 아버지의 최후를 알 수 있었다. 지난달 코끼리로 불려지는 Lautaro 여단( DINA의 비밀 부대)의 리더는 빅터 디아즈의 살인에 대해 자백했는데. 1977년 산티아고의 막사안에서 디아즈씨의 몸에 청산나트륨을 주사하고, 그를 플라스틱 백으로 질식시켰다고 하였다. 그의 사체는 철도 받침목에 묶여, 군용헬기로 바다에 던져졌다. 고통스럽긴 하지만 그 사실은 가족에게 평안을 가져다 주었다.
 

 

아르헨티나에서 공판과 고민거리

 

In Argentina, at least 13,000 people (and perhaps as many as 30,000) “disappeared” or were killed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1976-83.Unlike Chile's, Argentina's military regime collapsed in confusion, following defeat in the Falklands war. The first act of the democratic government of Raúl Alfonsín in 1983 was to annul the amnesty rushed through by the junta just before it fell. A truth commission—the world's first—provided the material for investigations by prosecutors, one of whom was Luis Moreno Ocampo, now chief prosecutor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n The Hague. Nearly 500 people, including nine members of the four successive juntas, were charged. Argentina thus became the first country to put its own military rulers on trial. The army argued that it had been forced to act by large-scale guerrilla violence. As in Chile, Argentina's military government had at first enjoyed considerable civilian support.

아르헨티나에서도 1977년부터 83년까지 군부 독재정권하에 최소 13,000에서 30,000에 이르는 사람들이 사라졌다.

Reuters
사용자 삽입 이미지

Pinochet's amnesty was unpicked

칠레와 달리 아르헨티나의 경우 포클랜드전쟁의 패배 이후 자멸했다. 라울 알폰싱에 의한 민주정부의 첫번째 일은 군부정권이 망하기 직전 만든 사면권을 무효로 하는 것이었다.1983년.

세계 최초의 진실 위원회는 현재는 국제사법재판소의 수석 검사인 루이스 모레노 오캄포에 의해 조사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4번의 군사정권을 계승한 9명을 포함한 근 500명이 기소되었다. 아르헨티나는 앞서도 얘기했듯이 군사정부를 법정에 세운 첫번째 국가이다. 군부는 대규모 게릴라 폭력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칠레에서 처럼 아르헨티나도 군부가 초기엔 시민적 지지를 얻었었다.

 

Repeated barracks rebellions in protest against the prosecutions forced Mr Alfonsín to buckle. He approved a “full-stop” law halting new investigations,followed by another of “due obedience” which exonerated those who claimed to have been following orders—a defence dismissed in the Nuremberg trials after the second world war.His successor, Carlos Menem, issued pardons to 277 of those already convicted or indicted, including nearly 40 generals and several guerrilla leaders.

검찰기소에 대한 반복된 군부의 저항이 알폰싱을 압박했다. 그는 새로운 조사를 중지시키는 법안을 승인하고 의무적 복종에 따라 자신들이 단순히 해야할 일을 했을 뿐이라고 주장하는 자들을 방면했다. 그의 후임자 카를로스 메넴은 40명의 장성과 몇몇 게릴라 리더를 포함, 이미 형이 확정되거나 기소된 277명을 사면시켰다.

 

*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연합국이 뉘른베르크에서 독일의 주요 전쟁 범죄인을 대상으로 연 국제 군사 재판. 1945년 11월부터 10개월간 행한 이 재판에서 기소된 24명 가운데 사형 12명을 포함한 19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

 

Argentines still argue about these pragmatic decisions. Public opinion was certainly against them, and the thirst for justice was huge. One crime was not covered by the various amnesties and pardons—that of taking away the babies of mothers who gave birth in captivity, and giving them to couples in the security forces to bring up as their own. The real mothers were then killed or “disappeared”. According to the “Grandmothers of the Plaza de Mayo”, who from 1977 demonstrated on the square of that name in Buenos Aires, some 500 babies were stolen in this way, only 87 of whom have so far been traced.

아르헨티나인들은 여전히 이런 실질적 문제로 고민하고 잇다. 대중의 의지는 물론 그들을 처벌하는 것이고, 정의에 대한 바램이 크다.  어떤 범죄는 사면권으로 보호받지 못한다. 포로중 태어난 아이를 엄마로 부터 떼어내어 비밀부대내에 커플에 주어 기르게 하는것. 그리고 진짜 엄마는 죽거나 말그대로 사라졌다. 가 게릴라 리더를 포함, 이미 형이 확정되거나 기소된 277명을 사면시켰다.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광장이름에서 유래된 Grandmothers of the Plaza de Mayo에 따르면  500여명의 아이들이 이렇게 버려지고, 단지 87명만이 밝혀졌다.

 

Pinochet's London arrest emboldened judges in Argentina too. Soon afterwards, General Jorge Videla, the junta president of 1976-81, was put on trial on charges of appropriating babies. For this, General Videla was sentenced to eight years imprisonment. He had already received a life sentence in 1985. His subsequent pardon was quashed by a judge last September on the ground that he was guilty of crimes against humanity and could never be pardoned. Because he is aged over 70, General Videla is now under house arrest.

피노체트의 런던에서 체포는 아르헨티나에서 처벌을 강화했다. 그후 , 1976-81년까지 군부의 장이었던 조지 비델라 장군은 아기들의 실종에 대한 책임으로 공판에 처해졌다. 이에 대해 비델라 장군은 8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이미 1985년 종신형을 선고 받았다. 게릴라 리더를 포함, 이미 형이 확정되거나 기소된 277명을 사면시켰다. 그의 최근 사면권은 지난 9월 법원에 의해 파기되었다. 그 이유는 그의 범죄가 반 인륜적이며 이는 결코 사면될수 없다는 법원의 판결 때문이다. 그는 이미 70살을 넘었기 때문에 가택에 수감되어있다.

* because;as;onthe ground 《that...》;on[under] the plea 《of, that...》
-라고 해서

*quash〔│〕 vt.
1 <반란 등을> 진압하다, 억누르다, 누르다(suppress)
   ¶  quash one's anxiety 불안을 억누르다
2【법】 <판결·명령 등을> 파기[폐기]하다,무효로 하다

*ex·on·er·ate〔│〕 vt.
1 <비난에서> 해방시키다,무죄가 되게 하다(free), <…의 혐의 등이> 무고함을 밝히다, 무죄임을 입증하다(exculpate)
   ¶  《exonerate+목+전+명》 We exonerated him from[of] an accusation. 우리는 그의 결백을 입증했다.
2 <사람을> (의무 등에서) 면제하다(release)
   ¶  《exonerate+목+전+명》 exonerate a person from payment …에게 지불을 면제하다

*an·nul〔〕 vt. (~led;~·ling)
1 <법률·규정 등을>무효로 하다, <명령·결의를> 취소하다(cancel), 폐기하다
2 소멸시키다, 제거하다

In 2005 Argentina's Supreme Court annulled the “full-stop” and “due obedience” laws as being unconstitutional. That has paved the way for the prosecution of other junta crimes. Of the 772 people, nearly all in the military or secret police, now facing charges or investigations, 260 are in pre-trial detention (including 71 under house arrest), 46 are on bail, 41 are on the run, and 109 are dead, according to the Centre for Legal and Social Studies, a human-rights group. Five people have so far been convicted, including two on “disappearance” charges. The government expects another half-dozen trials to take place this year. Years of further trials lie ahead.

2005년 아르헨티나 대법원은 완전 중지, 강제된 복종 등의 법률을 헌법에 반한다는 이유로 폐기했다. 그것을 통해 다른 군부 범죄자에 대한 기소가 가능해졌다. 군부와 비밀경찰 전체 772명 중에서 대부분이 처벌과 조사를 앞두고 있다. 260명은 사전공판 구금( 그 중 71명은 가택연금), 46명은 보석, 41명은 도주, 109명은 죽었다고 인권단체인 법과 사회연구소에서 밝혔다. 실종에 대한 죄목을 가진 2명을 포함 5명이 유죄선고를 받았다. 정부는 다른 6건의 공판도 올해 안에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 재판의 해가 기다리고 있다.

 

AP
사용자 삽입 이미지

Viviana Díaz finally found truth

These prosecutions are backed both by the current Peronist president, Néstor Kirchner, whose government includes several former followers of the Montonero guerrillas, and by public opinion. Unlike armies in many other Latin American countries, the army in Argentina is no longer much respected. In opinion polls 70% of respondents approved of the court's annulment of the amnesty laws. No new prosecutions are being brought against former guerrillas. The government argues, with questionable logic, that they were not guilty of crimes against humanity and are thus subject to the statute of limitations.

이런 기소는 몇몇 몬토네그로 게릴라를 포함한 페로니스트 대통령 네스트 커크너와 대중의 지지를 받고 있다. 다른 남미의 군대와 달리 아르헨티나의 군대는 더 이상 존경의 대상이 아니다. 여론조사결과 응답자의 70%가 사면권의 취소에 찬성했다. 이전 게릴라에 대한 기소는 더이상 없다. 정부는 이상한 논리로, 그들은 반인륜적 범죄자가 아니며 공소시효의 대상이라고 주장한다.

 

But prosecuting Isabel Perón, the third wife of Juan Perón, the country's revered populist leader, is a step too far for many Argentines. On Perón's death in 1975, Isabel, a former cabaret dancer, succeeded him. Amid growing economic chaos and violence between the guerrillas and right-wing death-squads, she signed decrees in 1975 authorising the eradication of all “subversive elements”. Some say that the Argentine Anti-communist Alliance (known as the “Triple A”), a government-backed death-squad, was responsible for at least 1,500 killings during her 20-month presidency.

그러나 후안 페론의 3번째 처 이자벨 페론을 기소한 것은 아르헨티나 국민들에게 있어 너무한 일이다. 1975년 페론의 죽음 이후 카바레 댄서였던 그녀는 그의 뒤를 계승했다.

경제적 혼란과 게릴라와 우익진영간의 폭력의 한 가운데에서 그녀는 1975년 모든 파괴적요소의 근절을 명하는 조약에 사인했다. 혹자는 아르헨티나의 반공산연합 통칭 프리플 A가 그녀의 20개월 집권기간 동안 최소 1,500명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Since her release from prison by the Argentine junta in 1981, Mrs Perón has lived in Spain. She claims ignorance of abuses during her rule. But in January she was arrested in Madrid at the request of an Argentine judge investigating the “disappearance” of a Peronist militant in February 1976. Four days later, a second warrant for her arrest was issued by another judge on charges relating to the “Triple A” killings. Aged 75 and said by her lawyers to be suffering from manic depression, Mrs Perón has been released on bail while awaiting the outcome of extradition proceedings. Few expect them to succeed.

1981년 아르헨티나 군부에 의해 풀려난 이후, 그녀는 스페인에 살고 있다. 그녀는 그러한 폭력에 대해 몰랐다고 주장했다. 그런 1월, 그녀는 마드리드에서 붙잡혔는데, 1976년 2월 발생한 페로니스트 투사들의 실종에 대한 조사 중인 아르헨티나 법원의 요청이었다. 4일후, Triple A와 연루된 다른 죄목이 밝혀졌다. 그녀의 변호사는 이미 75세이고 조병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한다. 그녀는 신병인도 절차의 결과가 나올때까지 보석으로 풀려나 있지만 누구도 그녀가 완전히 풀려날 것으로 기대하는 이는 없다.

 

As the experiences of Chile and Argentina show, each country has to find its own way of dealing with past atrocities in accordance with its own particular circumstances and history. Sometimes, it may take a whole generation for society to be ready to learn the truth, as in Germany after the second world war. At other times, an amnesty, which may later be unpicked or annulled, may help to secure peace.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경우에서 처럼, 각국은 그들의 특수한 사정과 역사에 따라 고유하게 과거사를 정리하고 있다. 때때로, 그 진실을 알 준비에 한세대가 걸리기도 하지만. 2차대전 후 독일처럼. 그외에는 폐기된 사면권이 평화의 보장을 돕는다.

 

The rise of international human-rights law has helped those who argue that in cases involving the worst crimes justice must never be sacrificed to peace. Where conflict continues that principle may be hard to apply. Its proponents say justice is essential not just as an end in itself but to deter future tyrants. Until recently, most could expect to get off scot-free. Increasingly, other countries may follow the road pioneered by Chile and Argentina.

국제인권법의 부각은 최악의 범죄에 연루된 문제에 대해 정의가 평화를 위해 희생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된다. 갈등이 계속되는 곳에서 원칙이 적용되기는 어렵다. 그러한 원칙의 대변자들은 정의란 그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미래의 폭력을 저지하기 위한 필수요소라고 말한다. 최근까지, 대부분 처벌을 면할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 차츰.다른 국가들도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뒤를 따를지도 모른다.

 

* scot-free〔│〕 a. 처벌을 면한;무사한;면세(免稅)의(cf. SCOT)
   ¶  go[get off, escape] scot-free 《구어》 벌을 면하다, 무사히 달아나다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