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19] America's tragedy

After the Virginia Tech massacre

America's tragedy

Apr 19th 2007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Its politicians are still running away from a debate about guns

 

미국의 정치가들은 아직도 총기에 관한 논쟁을 회피하고 있다



The Economist
사용자 삽입 이미지

>


>Get article background

>IN THE aftermath of the massacre at Virginia Tech university on April 16th, as the nation mourned a fresh springtime crop of young lives cut short by a psychopath's bullets, President George Bush and those vying for his job offered their prayers and condolences. They spoke eloquently of their shock and sadness and horror at the tragedy (seearticle). The Democratic speaker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called for a “moment of silence”. Only two candidates said anything about guns, and that was to support the right to have them.

 

4월 16일에 발생한 버지니아테크 대학의 대학살의 여파로 나라 전체가 정신 병자의 총알에  몽뚱 잘려나가 버린 풋풋한 봄철의 곡식과 같은 젊은 목숨들을 애도하는 가운데 죠지 부시와 대통령 자리를 넘보고 있는 정치가들은 그들의 기도와 애도를 전했다.

그들은 풍부한 표현을 동원해 이 비극에 대한 그들의 충격과 슬픔 그리고 공포를 전달했다. 미 하원의 민주당 대변인은 "침묵의 순간"을 요청했다. 오로지 두 후보만이 총기에 대해 언급했지만 그것마저도 총기를 가질 권리를 지지하는 것이었다.

 

>Cho Seung-hui does not stand for America's students, any more than Dylan Klebold and Eric Harris did when they slaughtered 13 of their fellow high-school students at Columbine in 1999. Such disturbed people exist in every society. The difference, as everyone knows but no one in authority was saying this week, is that in America such individuals have easy access to weapons of terrible destructive power. Cho killed his victims with two guns, one of them a Glock 9mm semi-automatic pistol, a rapid-fire weapon that is available only to police in virtually every other country, but which can legally be bought over the counter in thousands of gun-shops in America. There are estimated to be some 240m guns in America, considerably more than there are adults, and around a third of them are handguns, easy to conceal and use. Had powerful guns not been available to him, the deranged Cho would have killed fewer people, and perhaps none at all.

>


1999년 콜럼바인에서 딜런 클레볼드와 에릭 해리스가 고등학교 친구들 13명을 무참히 죽인 것처럼 조승희는 미국이라는 국가의 학생들을 상징하지 않는다. 그런 정신 병자들은 어느 사회에나 존재한다. 모두가 다 알고 있지만 권력자들 그 누구도 이번주에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는 그 차이란 미국 내에서는 그런 개개인이  끔찍하고 파괴적인 힘을 갖고 있는 무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다. 조는 총 두 자루로 희생자들을 죽였다. 그 중 하나인 글락 9mm 반자동 권총은 고속발사되는 무기로써 다른 나라들에서는 실제로 경찰에게만 주어지는 것이지만 미국에서는  수천여 군데의 총기 가게에서 카운터 너머로 합법적으로 살 수 있다. 미국 전체에 약 2억4천만개의 총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예측이 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내 성인의 숫자를 훨씬 웃돌뿐만 아니라 그 중에 3분의 1은 감추어서 쓰기 편한 권총이다. 강력한 총들은 구할 수 없었기에 정신이상자 조는 훨씬 더 적은 숫자를 죽였을 것이다. 아마도 아무도 죽게 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But the tragedies of Virginia Tech—and Columbine, and Nickel Mines, Pennsylvania, where five girls were shot at an Amish school last year—are not the full measure of the curse of guns. More bleakly terrible is America's annual harvest of gun deaths that are not mass murders: some 14,000 routine killings committed in 2005 with guns, to which must be added 16,000 suicides by firearm and 650 fatal accidents (2004 figures). Many of these, especially the suicides, would have happened anyway: but guns make them much easier. Since the killing of John Kennedy in 1963, more Americans have died by American gunfire than perished on foreign battlefields in the whole of the 20th century. In 2005 more than 400 children were murdered with guns.


그러나 버지니아테크 그리고 컬럼바인, 또한 작년에 애미쉬 스쿨에서 5명의 소녀들이 총에 맞은 펜실베니아의 니켈 마인즈의 비극들은 총기에 의한 저주의 전부가 아니다.

참담하게도 더 끔찍한 것은 매해 미국내 총기 사망 사건들의 모두가 대량 살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 2005년에 평범한 총 사고로 14000명 사망, 거기에 (2004년 통계에 의하면) 권총에 의한 자살 16000여건과 650여건의 치명적인 사고들도 더해져야 한다. 이 사건들 중의 대부분, 특히 자살은 어차피 일어났을 일이었다. 하지만 총기는 이를 더욱더 간단하게 해결해주었다. 1963년 존 케네디 대통령 암살 이후로 20세기 통틀어 타국의 전쟁터에서 죽은 미국인의 수보다 총기 사고로 죽은 미국인의 수가 더 많다.  2005년에 400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총에 맞아 살해되었다.

>The news is not uniformly bad: gun crime fell steadily throughout the 1990s and early 2000s. But it is still at dreadful levels, and it rose sharply again in 2005. Police report that in many cities it rose even faster in 2006. William Bratton, the police chief of Los Angeles (and formerly of New York), speaks of a “gathering storm of crime”. Politicians on both sides, he says, have been “captured” by the vocal National Rifle Association (NRA). The silence over Virginia Tech shows he has a point.

 

 

상황이 계속 나쁜 것만은 아니다. 총기범죄율은 1990년대와 2000년대 사이에 꾸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위험한 수위이며, 2005년에는 다시 급격하게 상승했다. 경찰은 2006년에는 많은 도시들에서 더욱 급격하게 상승했다고 보고한다. 현 로스앤젤러스 경찰 서장 (전 뉴욕 서장), 윌리엄 브래튼은 '범죄의 집합적 쇄도'에 대해 언급했다. 그가 말하길, 양 당의 정치가들이 국내 총기 협회 (NSA)에 의해 체포된 적이 있다고 한다. 버지니아 테크에 대한 침묵이 그가 핵심을 짚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Democrats have been the most disappointing, because until recently they had been the party of gun control. In 1994 President Bill Clinton approved a bill banning assault weapons (covering semi-automatic rifles plus high-capacity magazines for handguns) and the year before that a bill imposing a requirement for background checks. But Democrats believe they paid a high price for their courage: losing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n 1994 shortly after the assault-weapons ban, and then losing the presidency in 2000. Had Al Gore held Arkansas or West Virginia or his own Tennessee, all strongly pro-gun, he would have won the election. These days, with hopes for a victory in 2008 dependent on the South and the mountain West, it is a brave Democrat who will talk about gun control. Some of them dismiss the very idea as “insensitive”.

 

민주당이 가장 실망스럽다. 최근까지 그들온 총기 규제를 지지해 온 당이었다. 1994년 빌 클린턴 대통령은 폭행 무기 ( 반자동 권총 + 고수위의 권총 관련 잡지 ) 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그 전년도에는 신원조사를 필요 조건으로 하는 법안을 통과 시켰었다. 그러나 민주당원들은 그들의 용기에 높은 대가를 치뤘다고 믿는다. : 폭행 무기 금지 법안 통과 직후 1994년에 미 하원 자리를 잃고 나서 2000년에는 대통령직도 잃었음. 아칸소나 웨스트버지니아 또는 그를 지지하는 테네시에서 강력하게 총기 소지를 지지 했더라면 알 고어는 선거에서 승리했을 것이다. 오늘날, 2008년도 선거가 남쪽과 서쪽 산악지대에 승리가 달려있는 상황에서 총기 규제에 대해 언급하는 사람은 용감한 민주당원일 것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이 아이디어를 무신경하게 잊어버린다.

 

>Mr Bush however, has done active damage. On his watch the assault-weapons ban was allowed to lapse in 2004. New laws make it much harder to trace illegal weapons and require the destruction after 24 hours of information gathered during checks of would-be gun-buyers. The administration has also reopened debate on the second amendment, which enshrines the right to bear arms. Last month an appeals court in Washington,DC, overturned the capital's prohibition on handguns, declaring that it violates the second amendment. The case will probably go to the newly conservative Supreme Court, which might end most state and local efforts at gun control.

 

하지만 부시 대통령은 자발적인 손해를 일으켰다. 그의 지지 아래 폭행 무기 금지는 2004년에 무효화되었다. 새로운 법은 불법 무기 추적을 더욱 어렵게 하고 총기 구매 희망자의 신원조사 정보는 수집된 후 24시간 후에 파기되도록 한다. 행정부는 또한 무기를 소지할 수 있는 권리를 명시한 2차 수정안으로 논쟁을 다시 일으켰다. 지난 달 워싱턴 DC의 항소법원이 2차 수정안에 어긋난다며 주의 총기소지 금지법을 무효화했다. 그 소송은 아마도 새로운 보수적인 대법원으로 보내져 대부분의 주와 지역의 노력을 총기 규제로 마무리 지을지도 모른다.

 


>No phrase is bandied around more in the gun debate than “freedom of the individual”. When it comes to most dangerous products—be they drugs, cigarettes or fast cars—this newspaper advocates a more liberal approach than the American government does. But when it comes to handguns, automatic weapons and other things specifically designed to kill people, we believe control is necessary, not least because the failure to deal with such violent devices often means that other freedoms must be curtailed. Instead of a debate about guns, America is now having a debate about campus security.

 

개인의 자유보다 총기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마약, 담배 또는 속도 위반 차량과 같은 위험한 사건들을 다룰 때

이 신문은 미국 정부보다 더 자유적인 접근을 옹호한다. 하지만 권총과 관련해서는 자동 무기들과 그 밖에 사람들을 죽이기 위해 고안된 다른 무기들의 경우에는 우리는 규제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특히, 이러한 폭력적인 장치들을 제어하는데 실패한다면 또 다른 자유가 박탈되기 때문이다. 총기에 대한 의논을 하는 대신 미국은 현재 대학캠퍼스의 치안에 대해서만 논쟁하고 있다.

 

 

>Americans are in fact queasier about guns than the national debate might suggest. Only a third of households now have guns, down from 54% in 1977. In poll after poll a clear majority has supported tightening controls. Very few Americans support a complete ban, even of handguns—there are too many out there already, and many people reasonably feel that they need to be able to protect themselves. But much could still be done without really infringing that right.

 

사실 미국인들은 국가적 차원의 논쟁이 시사하는 것보다 총에 대해 더 심란해 하고 있다. 오로지 3분의 1의 가정에서만 총을 소지하고 있으며 이는 1977년의 54 퍼센트보다 떨어진 수치이다. 계속적인 여론조사 끝에 확실히 대다수가 규제를 강화하는 것을 지지했다. 아주 소수가 권총을 포함한 완벽한 규제를 원한다. - 이미 많은 총들이 시중에 나돌고 있고 많은 사람들은 그들 스스로를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합리적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러한 권리를 위반하지 않고서도 여전히 살인은 발생할 수 있다.

 

 

>The assault-weapons ban should be renewed, with its egregious loopholes removed. No civilian needs anAK-47for a legitimate purpose, but you can buy one online for $379.99. Guns could be made much safer, with the mandatory fitting of child-proof locks. A system of registration for guns and gun-owners, as exists in all other rich countries, threatens no one but the criminal. Cooling-off periods, a much more open flow of intelligence, tighter rules on the trading of guns and a wider blacklist of those ineligible to buy them would all help.

 

폭행 무기 금지법은 빠져나갈 구멍을 차단하면서 갱생되어야 한다. 어떠한 시민도 AK-47을 합법적으로 필요하진 않지만 온라인에서 379달러 99센트에 살 수 있다. 총기들은 어린이들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필수적인 장치를 장착하여 더욱 안전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른 모든 부유국들이 보유하고 있는 총기와 그 사용자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범죄자들에게만 위협이 될 뿐이다. 이 쟁의의 냉각기간을 갖고  정보를 더욱 투명하게 유지하고 총기 거래에 관한 법을 더욱 강화하고 총기를 사서는 안되는 부적격한 사람들을 관리하는 리스트를 만드는 것은 모두 도움이 될 것이다.

 

>Many of these things are being done by cities or states, and have worked fairly well. But jurisdictions with tough rules are undermined by neighbours with weak ones. Only an effort at the federal level will work. Michael Bloomberg, the mayor of New York, has put together a coalition of no fewer than 180 mayors to fight for just that. Good luck to him.

 

이 의견들 중 많은 부분이 도시나 주에서 시행되어 꽤 효과를 보고 있다. 그러나 까다로운 법률을 가진 관할구들에서 약한 법률들은 지역 주민들에 의해 신뢰도가 떨어진다. 오로지 연방 수위 정도의 노력만이 먹히고 있다. 뉴욕 시장 마이클 블룸버그는 그것을 쟁취하기 위해 180명 정도의 시장들과 연합을 만들었다. 그에게 행운을 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랜스 암스트롱(Lance Armstrong)이야기  (0) 2008.06.17
[Apr 19th 2007] Womenomics revisited  (0) 2008.06.17
When less is more  (0) 2008.06.17
하루에 1달러 : 세계 빈곤층의 상황  (0) 2008.06.17
주목받는 종업원지주제(ESOP)  (0) 2008.06.17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