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y 31st 2007 / Maharajahs in the shopping mall + If you've got it, don't flaunt it

Luxury goods in India



Maharajahs in the shopping mall


 

May 31st 2007 | DELHI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dia's growing prosperity opens up a new market for luxury-goods firm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dia's maharajahs discovered a Parisian designer called Louis Vuitton and flooded his small factory with orders for custom-made Rolls-Royce interiors, leather picnic hampers and modish polo-club bags. But after independence, when India's princes lost much of their wealth, the orders dried up. Then in 2002 LVMH, the world's largest luxury-goods group, made a triumphant return to India, opening a boutique in Delhi and another in Mumbai in 2004. Its target was the new breed of maharajah produced by India's liberalised economy: flush, flash, and growing in number.

Other purveyors of opulence followed, from Chanel to Bulgari. In recent months a multitude of swanky brands have announced plans to set up shop in India, including Dolce &Gabbana, Hermès, Jimmy Choo and Gucci. And Indian women will soon be invited to spend over $100 on bras made by La Perla, an Italian lingerie firm. Only a tiny fraction, of course, will do so. But it is India's future prospects that have excited the luxury behemoths.

India has fewer than 100,000 dollar millionaires among its one billion-plus population, according to American Express, a financial-services firm. It predicts that this number will grow by 12.8% a year for the next three years. The longer-term ascendance of India's middle class, meanwhile, has been charted by the McKinsey Global Institute, which predicts that average incomes will have tripled by 2025, lifting nearly 300m Indians out of poverty and causing the middle class to grow more than tenfold, to 583m.

Demand for all kinds of consumer products is about to surge, in short. And although restrictions on foreign investment prevent retail giants such as Wal-Mart and Tesco from entering India directly, different rules apply to companies that sell their own products under a single brand, as luxury-goods firms tend to. Since January 2006 they have been allowed to take up to 51% in Indian joint ventures. India is also an attractive market for luxury goods because, unlike China, it does not have a flourishing counterfeit industry. Credit is becoming more easily available. And later this yearVogue, a fashion magazine, will launch an Indian edition.

Barriers to growth remain, however. High import!!!! duties make luxury goods expensive. Rich Indians tend to travel widely and may simply buy elsewhere. Finding suitable retail space is also proving a headache. So far most designer boutiques are situated in five star hotels.

But things are changing. Later this year Emporio, a new luxury-goods mall, will open in a prosperous neighbourhood in the south of Delhi. It is likely to be the first of many. Even so, India could remain a difficult market to crack. Last October the Luxury Marketing Council,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of 675 luxury-goods firms, opened its India chapter. Its boss, Devyani Raman, described India's luxury-goods market as “a cupboard full of beautiful clothes with a new outfit arriving every day—it could start to look messy without the right care”. This, she said, included everything from teaching shop assistants appropriate manners to instilling in the Indian public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luxury. “How do you educate them”, she asked,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a designer bag that costs $400 and a much cheaper leather bag that functions perfectly well?”


인도의 명품

쇼핑몰의 인도왕


인도가 번창하게 되면서 사치품 회사를 위한 시장이 열리고 있다

19세기 말엽, 인도 왕은 루이비통이라는 프랑스 디자인을 발굴하여, 그의 작은 공장에서 맞춤 롤즈로이스(영국제 고급 자동차, 상표명) 인테리어와 가죽으로 만든 소풍 바구니, 유행하고 있는 폴로크럽 가방 등을 주문했다. 하지만 인도가 독립한 이후 인도 왕자들의 재산이 상당량 줄자 주문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2002년, 세계 최대의 명품 그룹이 된 LVMH가 인도로 금의환향하여 2004년 델리와 뭄바이 두 곳에 부띠끄를 열었다. 이 부띠끄는 '풍부하고 화려하며 상품수가 계속 증가하는' 인도 개방경제에 영향을 받은 신왕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샤넬에서 불가리까지 부를 퍼뜨리는 다른 기업들도 등장했다. 최근에는 돌체앤가바나, 헤르메스, 지미 츄, 구치 등 명품 브랜드 다수가 인도에 매장을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곧 인도 여성들이 이탈리아 란제리 회사 라펄라가 만든 브래지어에 100$ 이상을 지출하게 될 것이다. 물론 극소수층만이 그러할 것이다. 하지만 명품기업들의 구미를 당긴 것은 인도 미래의 전망이다.

American Express 재정서비스업계가 밝힌 바에 의하면 인도 인구 십억이상 중에서 백만장자는 십만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회사는 이 수치가 향후 3년간 매 12.8%까지 오를 것이라 예상한다. 이동안에 McKinsey Global Institute는 장기적 측면의 인도 지배층인 인도 중산층을 조사했다. 조사는 2025년까지 중산층의 평균 수익이 3배로 뛰고, 3억 가까이 되는 인구가 가난에서 벗어나며 중산층이 십배 이상 즉 5억8천3백만까지 늘어날 것을 전망하고 있다.

요는 모든 소비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해외투자에 대한 규제로 월마트, 테스코와 같은 거대 소매기업이 인도에 직접적으로 들어오지는 못하지만, 명품회사가 그러한 것처럼 하나의 브랜드 아래서 자신의 생산품을 내놓는 회사에는 다른 규칙을 적용하고 있다. 2006년 1월 이후로 명품회사가 인도 합작기업의 51%에 달하고 있다. 인도가 명품제품의 시장으로 매력적인 또 다른 이유는, 중국과는 다르게 위조 산업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신용은 좀 더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있다. 올해 말에는 패션 잡지 보그가 인도 판을 출간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에도 장애물은 있다. 바로 고수입관세로 명품가격이 치솟는다는 것이다. 인도 부유층은 다양한 곳을 여행하려 하고, 다른 장소에서 소비하려 한다. 적합한 소매장소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 지금까지 디자이너 부띠끄 대부분은 5성 호텔에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변화도 있다. 올해 말쯤에는 델리의 남부 부유지에 새로운 명품몰인 Emporio가 개장된다. 이 몰은 많은 명품 회사의 선구자가 될 것으로 보이지만, 그래도 인도시장을 깨기는 어려울 수 있다. 명품마케팅위원회인 675명품기업국제기구는 지난 10월 인도 분과를 만들었다. 이 분과의 감독인 Devyani Raman은 인도의 명품시장을 아름다운 옷으로 가득찬데다 새로운 제품이 매일 들어오는 찬장에 비유하며, 올바르게 관리해야 더럽게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매장 어시스턴트에게 올바른 매너를 가르치는 것부터 시작해서, 인도 국민들이 명품을 바로 이해하게 하는 것까지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녀는 "인도인에게 $400나 되는 디자이너 가방이랑 잘 기능하면서도 훨씬 싼 가죽 가방사이 차이를 어떻게 가르치겠습니까?"라고 묻는다.

Luxury goods in China

If you've got it, don't flaunt it

May 31st 2007 | SHANGHAI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The sale of luxury goods in China runs into political trouble

THIS week China's second “Millionaire Fair” opens in Shanghai. Its 15,000 visitors will be offered everything from antique furniture and luxury cars to offshore banking and private jets. The organisers could not have picked a worse time. This month is also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introduction of President Hu Jintao's plans to build a “harmonious society” by tackling inequality and bringing citizens closer together. High rollers showing off their diamond-encrusted mobile phones are not part of the plan.

There are signs that a clampdown is coming. Although the gulf between the rich and poor is smaller in China than in many other developing countries, it is growing fast. The 70,000 recorded cases of civil unrest in China last year were prompted in no small part by a growing sense of inequality.

This has led politicians to upbraid the nouveau riche, though so far only in small ways: chastising them for leaving too much food on their plates at banquets, for example. Such grumbling has mostly come from junior officials. But in recent months the complaints have grown louder. In March the prime minister, Wen Jiabao, railed against the building of flashy homes and criticised the use of land for golf courses. A few weeks later Xinhua, the government's official mouthpiece, warned that big spenders risked becoming “intoxicated with comfort” and sinking “into depravity”.


Last week the mayor of Beijing, Wang Qishan, went a stage further by calling for controls on outdoor advertisements that promote “luxury” or “ultra-distinguished” products, on the grounds that they “encourage luxury and self-indulgence, which are not conducive to harmony.” The Beijing Administration for Industry and Commerce, the local market regulator, add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certain advertising not conforming to the demands of socialist spiritual civilisation.”


Local politicians proposed that advertisements should not focus on wealth and luxury. One even hinted that some billboards might be taken down on the pretext that they were poorly made and might fall and cause accidents. Luxury-goods firms may now have to devise ways to promote exclusivity without highlighting inequality—and become experts in billboard construction.

 

중국의 명품

명품을 가지고 있다고 과시하지 마라


중국의 명품판매가 정치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번 주 중국의 제2회 백만장자 박람회가 상하이에서 열린다. 방문자중 15,000명은 고대가구와 명품 차에서 역외금융, 개인 제트기에 이르는 상품을 받는다. 행사 기획자가 정한 개최날짜는 시기적절하지 못하다. 후진타오 주석이 (사회) 불평등을 타파하고 시민들이 좀 더 가깝게 지낼 수 있는 조화로운 사회를 구축하기로 한 계획이 소개된 데 대한 두 번째 기념식이 이달에 있기 때문이다. 다이아몬드로 치장된 핸드폰을 자랑하는 사람은 후진타오의 계획과 맞지 않다.  

곧 단속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다른 개발도상국들에 비해 빈부격차가 작지만, 그 차이는 순식간에 벌어지고 있다. 작년 사회 불안에 관련해 기록된 사건은 7,000건으로 불평등의 심화가 그 불씨가 되었다.  

이런 것으로 인해 정치인들이 신흥부자들을 비난했다. 그러나 그 비난 강도는 아주 낮았는데, 예를 들면 연회장에서 쟁반에 너무 많은 음식을 남기는 사람들을 불평하는 식이었다. 이는 주로 하급 관계자들이 담당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불평이 더 커졌다. 3월 원자바오 중국총리는 번쩍번쩍한 집을 짓는 것을 꾸짖고 땅을 골프장으로 사용하는 것을 비판했다. 몇 주 후 중국의 공식 대변인 역할을 하는 신화통신은 사치하는 사람들이 안락함에 젖어 타락할 위험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지난 주 왕퀴산 베이징 시장은 한 발짝 더 나아가, '명품'이나 '초품위' 제품들을 조장하는 야외 광고가 사치와 방종을 유발하여 조화로움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로 규제를 요청했다. 중국 산업통상부 소속이자 지역 시장 규제자인 그는 "사회주의적 문명화의 요청을 따르지 않는 광고가 있어 문제"라고 덧붙였다.


지방 정치가들은 광고가 부와 사치품에 집중되지 않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심지어 어떤 이는 명품을 광고하는 내용이 부적절하게 만들어져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내용의 게시판을 없애야 한다고 했다. 명품제품회사는 불평등을 강조하지 않고 배타성(특별성)을 조장하는 방법을 찾아서 게시판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전문가가 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

 

갈수록 인도와 중국의 빈부의 격차는 심각해질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속도 또한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빠르고 중국의 경우 토지는 국유재산이기 때문에 소유가 불가능하지만 공공연히 있는 자들에게만 허용되는 사용권과 생활기반을 잃어버린 토착민, 농부들이 봉기 가능성 전혀 없어 보이지 않는 건 저만의 생각일까요?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