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l 5th 2007] Money isn't everything
Neuroeconomics
Money isn't everything (돈이 전부는 아니야)
Jul 5th 2007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전체를 읽어봤지만 여전히 내용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방장님과 다른 분들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 같네요. 전체적으로 기존의 경제적인 선택, 또는 이론과 맞지 않는 선택을 하는 남성들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호르몬에 기인하는 부분이 크다는 것을 임상실험을 통해 밝혀내는 내용인듯 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로 Ultimatum Game에 대한 사전지식으로 퍼온 블로그의 내용입니다.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전체를 읽어봤지만 여전히 내용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방장님과 다른 분들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 같네요. 전체적으로 기존의 경제적인 선택, 또는 이론과 맞지 않는 선택을 하는 남성들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호르몬에 기인하는 부분이 크다는 것을 임상실험을 통해 밝혀내는 내용인듯 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로 Ultimatum Game에 대한 사전지식으로 퍼온 블로그의 내용입니다.
두명의 플레이어가 게임을 한다. 첫번째 플레이어는 10만원을 받는다. 돈을 받은 플레이어는 그 일부를 두번째 플레이어에게 나누어 주어야 한다. (얼마를 주는지는 자유이다.) 두번째 플레이어는 돈을 받거나 거부할 수 있다. 두번째 플레이어가 돈을 받으면, 두 플레이어는 각자 돈을 챙기게 된다. 두번째 플레이어가 돈을 거부하면, 둘 다 돈을 잃게 된다.
첫번째 플레이어는 과연 어떻게 할까? 첫번째 플레이어가 인간성이 좋다면, 5만원을 두번째 플레이어에게 나눠 줄 것이다. 두번째 플레이어는 아마도 수락할 것이고, 둘 다 5만원씩 챙기는 해피 엔딩이다.
하지만 첫번째 플레이어가 학교에서 게임이론을 배웠다면, 얘기가 조금 달라진다. 두번째 플레이어가 이성적인 사람이라면, 스스로에게 손해가 되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첫번째 플레이어는 두번째 플레이어에게 단 천원만을 주어도 충분하다. 두번째 플레이어는 이것을 거부하면 아무 것도 챙기지 못하기 때문에 수락할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두번째 플레이어가 거부를 한다면, 첫번째 플레이어와 두번째 플레이어 둘 다 돈을 잃게 된다.)
실제로 이 게임을 해보면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까? 평균적으로는 첫번째 플레이어가 두번째 플레이어에게 주는 돈의 액수가 2만원 미만일 때, 두번째 플레이어는 돈을 거부한다고 한다. 즉 두번째 플레이어는 자신이 손해를 보는 것 보다는 상대방의 부당함을 처벌하는 것을 더 중요시 여긴다는 것이다.
참고로 첫번째 플레이어가 컴퓨터이고 두번째 플레이어가 사람이라면, 결과는 전혀 달라진다고 한다. 컴퓨터의 경우에는 천원만 나눠 주어도, 두번째 플레이어는 그것을 고맙게 받아들인다. 아둔한 컴퓨터는 처벌을 해도 바뀔 줄 모르기 때문이라나.
그럼..
Men with a lot of testosterone make curious economic choices
다량의 테스토스테론을 가진 남성들은 이상한 경제적 선택을 한다.
PSYCHOLOGISTS have known for a long time that economists are wrong. Most economists—at least, those of the classical persuasion—believe that any financial gain, however small, is worth having. But psychologists know this is not true. They know because of the ultimatum game, the outcome of which is often the rejection of free money.
심리학자들은 오랫동안 경제학자들이 틀렸음을 알아왔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 적어도 고전학파의 부류들은 재정적 수입은 그것이 비록 작더라도 가지는 것이 가치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심리학자들은 이런 내용을 부정한다. 바로 ultimatum game을 통해 종종 한푼도 갖지 못하는 거부의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In this game, one player divides a pot of money between himself and another. The other then chooses whether to accept the offer. If he rejects it, neither player benefits. And despite the instincts of classical economics, a stingy offer (one that is less than about a quarter of the total) is, indeed, usually rejected. The question is, why?
이 게임에서, 첫 플레이어는 자신과 상대방간에 돈을 나눈다. 그러면 상대방은 그 안을 수락할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 선택한다. 그가 거부하면, 둘다 잃는다. 고전적인 경제학의 본능에도 불구하고, 전체 금액의 1/4의 이하의 인색한 제안은 보통 거부된다. 왜?
One explanation of the rejectionist strategy is that human psychology is adapted for repeated interactions rather than one-off trades. In this case, taking a tough, if self-sacrificial, line at the beginning pays dividends in future rounds of the game. Rejecting a stingy offer in a one-off game is thus just a single move in a larger strategy. And indeed, when one-off ultimatum games are played by trained economists, who know all this, they do tend to accept stingy offers more often than other people would. But even they have their limits. To throw some light on why those limits exist, Terence Burnham of Harvard University recently gathered a group of students of microeconomics and asked them to play the ultimatum game. All of the students he recruited were men.
거부하는 사람의 전략에 대한 한가지 설명을 심리학자들은 1회성의 거래보다는 반복적인 관계에서 찾는다. 이런 시작할 때 경우 강경노선을 취하는 것은 다음의 게임에서 배당을 지불한다. 따라서 소액의 제안을 거부하는 것은 이러한 커다란 전략의 단지 한 전술일 뿐이다. 실제로 1번으로 끝나는 게임에서 훈련된 경제학자들이 게임을 한다면, 누구나 알듯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더 그 안을 수용하려 할 것이다. 그러나 그때에도 한계는 있다. 그러한 한계치가 왜 있는지 밝히기 위해 번햄은 미시경제학 전공의 학생들을 모아서 ultimatum game을 하도록 하였다. 그들은 모두 남성이었다.
Dr Burnham's research budget ran to a bunch of $40 games. When there are many rounds in the ultimatum game, players learn to split the money more or less equally. But Dr Burnham was interested in a game of only one round. In this game, which the players knew in advance was final and could thus not affect future outcomes, proposers could choose only between offering the other player $25 (ie, more than half the total) or $5. Responders could accept or reject the offer as usual. Those results recorded, Dr Burnham took saliva samples from all the students and compared the testosterone levels assessed from those samples with decisions made in the one-round game.
번햄박사의 연구에서 한게임 40$인데 학생들은 여러번의 ultimatum game을 하면서 그 금액을 좀더 많이 또는 좀 더 작게 나누는 방법을 배웠따. 하지만 번햄박사의 관심은 오직 한번의 게임이다.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들은 이미 마지막 게임인 것을 알며 이번 결과가 미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안다. 그리고 제안자( 즉, 첫번째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에게 25$, 또는 5$ 둘 중에서 제안할 수 있다. 다른 플레이어는 수락하든지 거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이 기록될때 번햄박사는 모든 학생들로부터 타액샘플을 채취하였고, 막판의 결정때에 채취될때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비교하였다.
As he describes in the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the responders who rejected a low final offer had an average testosterone level more than 50%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ose who accepted. Five of the seven men with the highest testosterone levels in the study rejected a $5 ultimate offer but only one of the 19 others made the same decisi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그가 밝혔듯이 낮은 금액을 거부한 두번째 플레이어들의 테스토스테론의 레벨은 안을 수용한 학생들 보다 50%이상 높았다. 가장높은 수치를 기록한 7명 중에서 5명이 5$안을 거부한반면 다른 19명(아마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낮은 학생들이겠죠.^^) 중에서 1명만이 같은 결정(거부)을 했다.
What Dr Burnham's result supports is a much deeper rejection of the tenets of classical economics than one based on a slight mis-evolution of negotiating skills.It backs the idea that what people really strive for is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prosperity. They would rather accept less themselves than see a rival get ahead. That is likely to be particularly true in individuals with high testosterone levels, since that hormone is correlated with social dominance in many species.
번햄의 결과가 보여주는 것은 전통적인 경제학의 경향에 따른 거절보다 교섭기술의 미세한 이상증식에 기반한다는 것이다. 그 아이디어는 사람들이 확정된 번영보다는 진짜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와 관계있다. 그들은 상대방이 앞서나가는 것을 보기보다는 안을 수용하지 않는다. 그것은 높은 테스토스테론 수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사실일 수 있다. 왜냐하면 그 호르몬은 다양한 종에서 사회적 우월성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Economists often refer to this sort of behaviour!!! as irrational. In fact, it is not. It is simply, as it were, differently rational. The things that money can buy are merely means to an end—social status—that brings desirable reproductive opportunities. If another route brings that status more directly, money is irrelevant.
경제학자들은 종종 이러한 행동이 비이성적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그것은 일반적이며 그 자체가 다른 종류의 이성적인 것이다.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은 결과적으로 사회적 지위, 즉 번식의 기회를 가져다 준다. 하지만 다른 루트를 통해 이러한 지위로 바로 갈 수 있다면, 돈은 무의미하다.
* wikipedia에서 찾은 ultimatum game.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가 저지르지 말아야 할 10가지 잘못 (0) | 2008.06.17 |
---|---|
서강대 유석진 교수님의 이코노미스트관련 특강 (0) | 2008.06.17 |
구매력평가 (Purchasing Power Parity: PPP) (0) | 2008.06.17 |
[Jul 12th 2007]Poor young things,Where money seems to talk (0) | 2008.06.17 |
[ Jul 26th 2007 ]Soft currency (0) | 2008.06.17 |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