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완화? 그렇다면...
By PAUL KRUGMAN
Published: November 7, 2010
Fred R. Conrad/The New York Times
Paul Krugman
Eight years ago Ben Bernanke, already a governor at the Federal Reserve although not yet chairman, spoke at a conference honoring Milton Friedman. He closed his talk by addressing Friedman’s famous claim that the Fed was responsible for the Great Depression, because it failed to do what was necessary to save the economy.
8년전, 아직은 연방준비은행(이하 연준)의 총재가 아니었을 때 밀턴 프리드먼을 기리는 회의에서 연설한적이 있다. 그는 그 연설을 프리드먼을 인용하며 끝냈는데, 연준은 대공황 당시 경제를 구하기 위해 해야할 바를 하지 못한 책임이 있다는 것이었다.
“You’re right,” said Mr. Bernanke, “we did it. We’re very sorry. But thanks to you, we won’t do it again.”
버냉키는 프리드먼의 말이 맞으며, 이번에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Famous last words. For we are, in fact, doing it again.
그 멋진 마지막 말과는 달리는 우리는 또 그렇게 하고 있다.
It’s true that things aren’t as bad as they were during the worst of the Depression. But that’s not saying much. And as in the 1930s, every proposal to do something to improve the situation is met with a firestorm of opposition and criticism. As a result, by the time the actual policy emerges, it’s watered down to such an extent that it’s almost guaranteed to fail.
지금이 대공황만큼 최악은 아니지만, 그렇게 말하는 게 아니다. 그리고 1930년대에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모든 제안은 반대와 비판의 폭풍에 직면했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지나자 실제 정책들이 거의 실패를 보장하는 것과 같았다는 것이 드러났다.
We’ve already seen this happen with fiscal policy: fearing opposition in Congress, the Obama administration offered an inadequate plan, only to see the plan weakened further in the Senate. In the end, the small rise in federal spending was effectively offset by cuts at the state and local level, so that there was no real stimulus to the economy.
우리는 이미 이것이 재정 정책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보았다. 의회에서의 반대에 대한 두려움, 오바마 행정부가 제출한 불충분한 계획, 그 계획조차 상원에서 더욱 약화되었다. 결국, 연방 지출의 작은 상승은 주 및 지방 수준에서 상쇄되었고, 경제에 실제 자극은 없었다.
Now the same thing is happening to monetary policy.
이제 똑같은 상황이 통화 정책에 일어나고 있다.
The case for a more expansionary policy by the Fed is overwhelming. Unemployment is disastrously high, while U.S. inflation data over the past few years almost perfectly match the early stages of Japan’s relentless slide into corrosive deflation.
연준에 의한 확대 정책은 더욱 압도적이다. 실업률은 재앙적으로 높고, 지난 몇 년 동안 미국의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침체기에 접어들던 일본의 경우와 일치한다.
Unfortunately, conventional monetary policy is no longer available: the short-term interest rates the Fed normally targets are already close to zero. So the Fed is shifting from its usual policy of buying only short-term debt, and is now buying long-term debt — a policy generally referred to as “quantitative easing.” (Why? Don’t ask.)
불행히도, 종래의 금융 정책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단기 금리는 거의 제로 수준에 가깝다.따라서, 연준은 단기 부채를 사는 통상적 정책에서 장기 부채를 사들이는 소위 양적완화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There’s nothing outlandish about this action. As Mr. Bernanke tried to explain Saturday, “This is just monetary policy,” adding, “It will work or not work in much the same way that ordinary, more conventional, familiar monetary policy works.”
이러한 정책에 이상할 것은 없다. 버냉키가 설명하려 했듯이, "이것은 단지 금융 정책"이며 "기존의 유사한 금융정책이 작동하는 것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작동 또는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Yet the Pain Caucus — my term for those who have opposed every effort to break out of our economic trap — is going wild.
그러나 Pain Caucus(註: 우리의 경제적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모든 노력에 반대하는 이들을 일컫는)들은 반대할 것이다.
This time, much of the noise is coming from foreign governments, many of which are complaining vociferously that the Fed’s actions have weakened the dollar. All I can say about this line of criticism is that the hypocrisy is so thick you could cut it with a knife.
이번에는 연준의 조치가 달러 약세를 초래한다는 이유로 외국 정부들이 불만이 높아질 것이다. 단언컨대, 이러한 비판은 무시되어야 한다.
After all, you have China, which is engaged in currency manipulation on a scale unprecedented in world history — and hurting the rest of the world by doing so — attacking America for trying to put its own house in order. You have Germany, whose economy is kept a float by a huge trade surplus, criticizing America for running trade deficits — then lashing out at a policy that might, by weakening the dollar, actually do something to reduce those deficits.
역사 이래 최대 환율 조작국인 중국이 - 또한 그런 행위를 통해 세계를 고통에 빠트리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미국 공격하는 것, 자신들은 무역흑자를 통해 성장하면서 달러 약세를 통해 무역적자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는 미국을 비난하는 독일
As a practical matter, however, this foreign criticism doesn’t matter much. The real damage is being done by our domestic inflationistas — the people who have spent every step of our march toward Japan-style deflation warning about runaway inflation just around the corner. They’re doing it again — and they may already have succeeded in emasculating the Fed’s new policy.
실재적인 문제로서, 외국의 비판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큰 문제는 국내의 인플레이션이다.일본과 같은 디플레이션에 대한 경고를 하는 자들이 연준의 새로운 정책을 무력화시키고 있다.
For the big concern about quantitative easing isn’t that it will do too much; it is that it will accomplish too little. Reasonable estimates suggest that the Fed’s new policy is unlikely to reduce interest rates enough to make more than a modest dent in unemployment. The only way the Fed might accomplish more is by changing expectations — specifically, by leading people to believe that we will have somewhat above-normal inflation over the next few years, which would reduce the incentive to sit on cash.
양적 완화에 대해 걱정은 너무 많이 할 것이 아니다. 아마 소기의 목표달성 정도. 추정치를 보면 연준의 새 정책은 실업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것 이상으로 금리를 낮출 가능성은 낮다. 연준이 더 나아가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기대에 대한 변화다.- 특히, 사람들은 앞으로 몇 년간 통상적인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유지될 것이라는, 그것이 사람들이 돈을 깔고 앉아 있는 것을 줄여줄 것이다.
The idea that higher inflation might help isn’t outlandish; it has been raised by many economists, some regional Fed presidents and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But in the same remarks in which he defended his new policy, Mr. Bernanke — clearly trying to appease the inflationistas — vowed not to change the Fed’s price target: “I have rejected any notion that we are going to try to raise inflation to a super-normal level in order to have effects on the economy.”
높은 인플레이션이 도움이 될것이라는 것은 엉뚱한 생각은 아니다. 그것은 많은 경제 학자,일부 지역 연준 총재와 국제 통화 기금에 의해 제기되었다. 버냉키는 그의 새로운 정책을 옹호하며, 분명히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연준의 목표를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 하였다. "
And there goes the best hope that the Fed’s plan might actually work.
그리고 연준의 계획이 실제로 작동하는 것이 최선이다.
Think of it this way: Mr. Bernanke is getting the Obama treatment, and making the Obama response. He’s facing intense, knee-jerk opposition to his efforts to rescue the economy. In an effort to mute that criticism, he’s scaling back his plans in such a way as to guarantee that they’ll fail.
이렇게 생각해 보자. 버냉키는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한 그의 노력에 반대하는 멍청이들과 직면해 있다. 그러한 비판을 잠재우기 위해 그의 계획을 축소시킨다면 이 정책은 실패할 것이다.
And the almost 15 million unemployed American workers, half of whom have been jobless for 21 weeks or more, will pay the price, as the slump goes on and on.
슬럼프가 계속되면, 천오백만의 실업자들이 그 대가를 지불하게 될 것이다.
----------------------------------------------------------------------------------------------------------------
결국, 양적완화는 "시간벌기"(알파헌터님의 글 중에서)라는 얘기이고,
쪼그라들만큼 쪼그라든 수요가 발생해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떨쳐내고 심리적으로 위축되었던 것이 해소되어야 한다는 얘기인데
왠지 미쿡애들은 좀 잘할 듯. 일본이랑은 소비성향 자체가 틀리기도 하고, 크루그먼 같은 아저씨의 목소리도 있고,
고로....내년에도 주식은 좀 사야한다는 얘기??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0) | 2011.01.27 |
---|---|
악의 축? 아니 불황의 축 (0) | 2010.12.10 |
make just five decisions (0) | 2010.12.07 |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어디로 가고 있습니까? (2) | 2009.07.07 |
GLOBAL HUNGER (1) | 2009.06.19 |